본문 바로가기
life

국내 도입 스마트폰 e심(E-Sim)두개번호 사용가능(비용절감)

by 1%블로거 2021. 9.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핸드폰 e 심(Esim, Embedded·sim)에 대해 알아보기로 해요. 

 

갈수록 세계가 그리고 생활이 편리하고, 빠르게 변화되는 모습이 보이는데요.  이미 미국, 영국 등 69개국의 나라에서 이미 제공되고 있는 e 심은 우리나라에서도 사용화가 내년 2022 하반기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e 심을 이용한다면 변화하는 생활과, 혜택, 그리고 어떤 단점이 있는지 궁금해하지 않으세요? 처음에 e 심이라고 들었을 때는 인터넷으로 뭔가 이용되는 심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일단 큰 변화는 유심 대신 e 심으로 바뀌게 되면 우리나라 통신사에서 요구하는 플라스틱 유심카드를 살 필요가 없어집니다. 이동통신사 옮길 때마다 7천 원 정도의 유심카드 비용 아깝다고 생각하신 분들 많으실 거예요.


개요 

1. e 심 이란 무엇인가?

2. e심 & 유심의 차이점.

3. 듀얼 e심 두 가지 방향

3. e심의 장점과 활용방향

4. e심의 미래

 


1.  도대체 e 심이란 무엇인가?

일단 사전적인 의미로 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을 말합니다.(Embedded·sim) 내장된 칩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식으로 인증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있던 단말기 슬롯 안에 플라스틱 카드를 넣지 않고 출고될 때부터 심카드가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모듈에 번호를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통신사에 가지 않고 인터넷으로 내장된 심카드에 모든 정보를 넣고 빼는 것이 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렇게 e 심이 상용화 된다면, 솔직히 우리는 이제 통신사에 갈필요가 없어집니다. 점점 비대면화가 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e심(E-Sim) 단말기에 내장된 e심 모듈에 번호를 등록하는 방식
유심(U-Sim)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IMEI) 이요한 IC카드

 

2.  e심 & 유심의 차이점

일단 한 번에 e 심과 유심의 큰 차이점은 e 심은 분실 위험이 없다는겁니다. 유심은 크기고 작고 탈착시 자칫 분실위험이 큰 부분이 많았습니다. 번호 등록 부분은 e 심은 내장되어있는 모듈에 번호를 등록을 하며, 제거 하고 싶다고 제거 되는 부분이 아닙니다. 하지만 유심은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할때 제거가 가능합니다. 유심은 일종의 단말기 아이디 같아 단말기 고유번호 15자리 번호를 등록된 IC칩입니다.

이중에서도 정말 큰 차이점은 e 심은 단말기에 내장되어있어 무료라는점입니다.(유심은 각 통신사별 7700원)

 

3. 듀얼 e심 사용

e 심(E-Sim)이 사용하는 방법에도 싱글 e심 & 듀얼 e심으로 나뉩니다.

싱글 e심 e심(E-Sim)
듀얼 e심 e심(E-Sim) + Nano U-Sim

4. e심 장점과 활용방향.

  • 듀얼 e심사용 시 한 개의 기기에 두 개의 번호를 사용 가능하여, 개인용폰과 업무용폰을 하나의 기기에서 관리가 가능.
  • 저렴한 통신사 요금을 조합하여 보다 알뜰하게 사용가능하여 비용절감 및 유심 비용 지불 불필요.
  • 기기변경 또는 통신사 이동시 대리점에 갈 필요 없음.(쉽게 기기변경 가능)

※ 하지만 통신사들은 매출 감소 및 통신사간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고객 유지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음.

 

5.  e 심으로 바라본 미래

 

이렇게 곧 e심으로 변화가 된다면, 이제 유심카드는 필요 없을까요?  아닙니다. 그래도 필요합니다. 아직 전 세계가 e 심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이 아니기에 언제든지 필요한 경우가 생길겁니다. 또한 아이폰 13부터 e심 두개를 동시에 사용할수 있게 나온다고 하니 기대해도 좋을듯 합니다. 아직 국내 삼성폰에는 e심 탑재되어서 출신 된 모델이 없는데 이 부분은 내년을 지켜봐야겠습니다.

 

항상 뭔가 바뀔 때는 두렵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또 금방 적응 해나가게 되죠. e심이 상용화된다면 곧 더 편리하고 저렴한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거라 기대해 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또 좋은 내용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